RPA 관련 설명회를 다니다 보면 주로 받게되는 질문이 2가지가 있다.
1. 어떤 업무를 대상으로 자동화를 해야 하나요?
2. 어떻게 도입을 해야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까요?
처음 RPA 설명회를 다닐때는 솔루션의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열심히 설명을 하고 다녔다.
물론 초기에는 RPA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도 명확하게 모르는 상황이라 처음에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후 RPA의 기본 개념을 알게되면 결국 위의 2가지 질문이 남는다.
먼저 어떤 업무를 대상으로 자동화를 해야할지 알아보겠다.
앞선 글에서 RPA가 무엇인지 한마디로 요약을 했었다.
RPA란 무엇인가(Robotic Process Automation)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면
1.컴퓨터를 사용하여 진행하는 업무 중 명확한 규칙이 있는 업무
- 잘 정의된 업무 기준, 규칙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
- 다양한 예외가 많은 프로세스는 RPA에 부적합
2.사람의 개입, 주관적 판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업무
- 급여공제, 부가세 대사 등 사람의 개입, 의사결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반복적인 작업
3.여러 시스템에 접속해서 처리해야 하는 업무
- 간단한 작업을 위해 여러 시스템에 접속하여 처리하는 업무
4.사람의 실수가 자주 발생하는 업무
- 반복적인 작업으로 오랜 경험과 숙련된 교육을 받은 사람조차도 실수를 저지르는 업무
5.수행 업무 중 기피하고 싶은 업무 중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
- 업무 수행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단순히 반복적으로 처리하여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 사전 또는 사후 처리 업무
아직까지 RPA의 자동화 수준에서 의사결정과 같은 주관적인 판단은 불가능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도중 판단이 필요할 경우는 업무를 분리하여 중간에 사람의 개입이 이뤄지도록 한다.
다음에는 어떻게 RPA를 도입해야 할지 도입 전략을 알아보도록 하자.
RPA 주된 질문 - 도입 방법 (0) | 2022.02.17 |
---|---|
RPA란 무엇인가(Robotic Process Automation) (0) | 2022.02.15 |
댓글 영역